고구려 춤 연구
도서 소개
춤꾼 이애주의 유작 《고구려 춤 연구 - 고구려 무덤벽화에 나타난 춤의 유형과 상징체계》는 한국무용사나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사에서 하나의 획기가 되는 역저이다.
이애주는 이 책에서 고분벽화 중 고구려 춤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20여개의 벽화를 분석하여 고구려 춤의 구조와 유형 등 춤의 기능적 미학을 파악하고, 나아가 그 속에 내재된 고구려인의 미의식과 상징체계를 밝혀내려고 하였다.
이애주는 ‘승무(僧舞)를 비롯한 한국 전통춤의 명인일 뿐 아니라, ‘바람맞이’춤으로 대중과 호흡을 같이 한 신명나는 춤꾼이었다. 그의 춤길은 크게 삼단계로 나눌수 있는데, 어릴 때부터 추어온 궁중무ㆍ승무 등 단아한 한국 전통춤길, 젊은 시절 마당판의 미얄할미나 거리에서 대중과 호흡을 같이 한 ‘바람맞이’등 신명나는 춤길, 고구려의 옛땅이었던 만주와 몽골 초원의 거친 바람을 맞으며 한국 춤의 원형 찾기에 나선 탐구의 춤길이 그것이다.
저자 소개
李愛珠, 1947. 10. 17.~2021. 5. 10.)
어린 시절 이왕직 아악부(국립국악원의 전신)의 아악수장 김보남으로부터 춤을 익혔다. 서울대학교 진학 후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인 벽사(碧史) 한영숙을 사사(師事)했으며, 1996년에는 스승에 이어 2대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87년 6월 항쟁의 한복판에서 온몸으로 시대를 가르는 춤을 추어 춤의 사회적 과제를 부각했다. 이후 전통춤 정립과 후진 교육에 매진하는 한편, 민족춤의 시원을 찾아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서울대학교 교수, 경기아트센터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2021년 이애주문화재단을 설립한 후 같은 해 5월 10일 타계했다.
목차
6 |발간사|이애주의 유작《고구려의 춤 연구》출간에 즈음하여. 서영수(단국대 명예교수)
10|추도사|고구려 춤사위에서 민족의 혼을 찾고, 인간 삶의 근원을 묻다. 이태호(명지대 석좌교수)
17|헌사| 민족춤의 범주를 확장한 열린 세계관. 김경숙(제자, 한국문화재재단 예술단 예술감독)
1. 들어가는 말|20
1) 춤 연구와 고구려 무덤벽화|20
2) 고구려 춤 연구의 의의|25
2. 고구려 무덤벽화의 문화사적 조망|30
1) 고구려의 발전과 무덤벽화|30
2) 고구려 무덤벽화의 변천|33
3) 고구려 무덤벽화의 춤그림|37
3. 고구려 춤의 유형(類型) |42
1) 소매춤|42
2) 맨손춤|64
3) 행렬춤|68
4) 곡예춤|77
5) 무예춤|80
6) 하늘춤|100
4. 고구려 춤의 구조 |112
1) 하체 놀림|112
2) 상체 놀림|115
3) 몸놀림|117
5. 고구려 춤옷의 형태와 특징 |123
1) 소매옷|123
2) 날개옷|126
3) 평상옷|126
4) 고구려 춤옷의 특징|127
6. 고구려 춤의 반주 악기 |129
1) 17호무덤의 악기|130
2) 안악3호무덤의 악기|133
7. 고구려 춤의 미적 가치와 특성 |140
1) 고구려 춤의 미적 가치|140
2) 고구려 춤의 특성|143
8. 고구려 춤의 상징체계(象徵體系) |149
1) 현실(現實)과 천상(天上)|149
2) 천지인(天地人) 삼(三)사상|152
3) 영혼불멸(靈魂不滅) 사상|154
4) 예(禮) 사상|155
5) 불교(佛敎) 사상|156
6) 신선(神仙)사상과 도교(道敎)사상|158
7)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159
9. 맺음말 |164
●이애주의 고구려 춤 되살림 - 재현 영상|175
(화보) 고구려 무덤벽화에 나타난 춤의 유형과 상징 체계|177